어떤 구성들로 이루어진 항온항습기일까?
저번에도 항온항습기에 대한 구조와 그리고 주요부 구성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나머지 구조, 그리고 주요부 구성에 대해 좀 더 알아보도록 할께요.
가장 먼저 항온항습기의 압축기입니다. 스크롤식 밀폐형으로 되어 있어 운전을 가동하는 중 윤활이 보다 원활하며, 압축기의 하부에 방진 고무를 장치함으로써 소음과 진동을 방지하기도 합니다.
다음은 팽창밸브입니다. 감온식 항온항습기의 팽창밸브는 증발기로부터의 가열도를 조절함으로써 실내 열부하에 따라 냉매량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마이콤 콘트롤러는요, 마이크로 프로세서 컨트롤러에 의한 자동 조절 장치 채용으로 원터치로 조작이 가능하며, 고장이 발생했을 시 자기진단 기능으로 인해 경보장치가 작동이 됩니다. 항온항습기에 꼭 필요한 구성이기도 합니다.
다음은 안전장치로, 모든 구동부에는 개별적으로 과전류를 보호할 수 있는 장치가 부착이 되어 있으며, 압력 센서로써 냉동 시스템을 완벽하게 보호합니다.
속도조절장치는 고압과 저압 등의 압력과 팬 모터의 주파수를 디지털로 표시가 되어 정확한 제어로 과부하 방지로 인한 에너지 절약과 모타 수명의 연장, 그리고 실외기 소음의 감소가 되어 역시 항온항습기에서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기도 합니다.
저번에도 항온항습기에 대한 구조와 그리고 주요부 구성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나머지 구조, 그리고 주요부 구성에 대해 좀 더 알아보도록 할께요.
가장 먼저 항온항습기의 압축기입니다. 스크롤식 밀폐형으로 되어 있어 운전을 가동하는 중 윤활이 보다 원활하며, 압축기의 하부에 방진 고무를 장치함으로써 소음과 진동을 방지하기도 합니다.
다음은 팽창밸브입니다. 감온식 항온항습기의 팽창밸브는 증발기로부터의 가열도를 조절함으로써 실내 열부하에 따라 냉매량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마이콤 콘트롤러는요, 마이크로 프로세서 컨트롤러에 의한 자동 조절 장치 채용으로 원터치로 조작이 가능하며, 고장이 발생했을 시 자기진단 기능으로 인해 경보장치가 작동이 됩니다. 항온항습기에 꼭 필요한 구성이기도 합니다.
다음은 안전장치로, 모든 구동부에는 개별적으로 과전류를 보호할 수 있는 장치가 부착이 되어 있으며, 압력 센서로써 냉동 시스템을 완벽하게 보호합니다.
속도조절장치는 고압과 저압 등의 압력과 팬 모터의 주파수를 디지털로 표시가 되어 정확한 제어로 과부하 방지로 인한 에너지 절약과 모타 수명의 연장, 그리고 실외기 소음의 감소가 되어 역시 항온항습기에서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기도 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